몰입하는 개발자

An immersive developer/researcher

HTML 5

[HTML(5)] <body> 태그 *비공개 중

body는 head 아래 위치하며, 실제 브라우저에 보이는 내용을 의미한다. ....다양한 태그 종류 설명 중. *heading 태그를 글씨를 키우거나 볼드 처리하려는 목적으로 사용하지 말것. h태그는 제목이나 부제 등 의미를 부여하려고 사용하는 것이다. 꾸미기는 css 기능을 사용할 것! *a에서 target 속성을 추가해 "_blank"해주면 새로운 창에서 열린다. *링크가 어딘지는 모르겠는데, 우선 하이퍼링크 기능을 사용하고 싶다면(더미처럼) href 속성에 #d을 넣어주면 된다. 그럼 해당 텍스트를 눌러도 아무곳으로도 이동하지 않는다. span은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고 특정 영역을 선택(표시,명시)하는 태그이다.*문자열의 일부 단위로 적용 div도 마찬가지로 의미를 부여하진 않는다. 여러 요소를 ..

[HTML(4)] 블록 요소 vs 인라인 요소(재확인(비유) 필요)

우리가 보는 웹 페이지는 실제로는 수많은 블록으로 이루어진 퍼즐과도 같다. 각각의 영역이 네모난 모양으로 브라우저를 차지하고 있다. 어떤 텍스트는 따로 태그를 붙이지 않아도 줄바꿈이 되는데, 그런 텍스트는 텍스트가 보이는 부분만 영역으로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그 옆까지 한 줄을 차지하는 요소이다. 이와 같이 태그 자기자신 앞뒤에 라인을 구분하고 브라우저에서 하나의 면을 차지하는 요소를 블록요소라고 한다. 이와 반면에, 텍스트가 줄바꿈이 없고 텍스트가 보이는 영역에만 영향을 미치는 태그를 인라인 요소라고 한다. 블록요소가 면이라면 인라인 요소는 선을 그린 것이라고 할 수 있다.(올바른 비유인가?) Block Element Inline Element : 링크를 거는 태그 :범위를 지정하기 위한 태그 두 요소..

[HTML(3)] <head> 태그 : HTML 문서에 대한 설정 정보(재확인 필요)

앞서 [HTML(2)]에서 언급한 HTML의 Boilerplate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태그 부분에 집중해보자. *head 태그 - head 태그는 브라우저 화면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 웹 문서의 속성, 인코딩 방식, 외부 리소스를 로드하는 '설정'의 성격을 띤다. - meta 태그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meta 태그 안에 선언는 속성의 종류에 따라 그 역할이 달라진다. *인코딩 : 이 문자를 컴퓨터가 어떻게 해석할 지 알려주는 것 *meta 태그 속성 종류 -charset : 문자를 컴퓨터에서 어떻게 해석할지. UTF-8은 전세계 모든 문자와 언어를 지원하는 인코딩 방식이다. 즉, 특정 언어가 깨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charset은 이렇게 설정해주면 된다. -http-eq..

[HTML(2)] HTML 구성

HTML : HyperText Markup Language 1. 이름 의미 -HyperText :텍스트에 생명을 불어넣는 것(다른 페이지로 가는 링크를 넣거나, 현재 텍스트가 문단인지 제목인지 등 의미적인 내용을 부여함) *Text는 순차적으로 정보를 읽어들이나, HyperText는 정보에 대한 순차적인 접근을 뛰어넘는 것이다. -Markup : "태그를 통해" 텍스트에 생명을 불어넣는다. -Language : 컴퓨터와의 의사소통 언어 2. HTML 요소 안녕하세요. 위 코드처럼 여는 태그, 내용, 닫는 태그로 이루어진 부분을 '요소'라고 한다. 3. HTML 속성 안녕하세요 여는 태그 부분에 추가된 class="hello" 부분을 '속성'이라고 한다. 속성은 아무것도 적지 않아도 되고, 여러가지를 추가..

[HTML (1)] HTML이란

흔히 HTML, CSS, JS(Java Script)를 웹 페이지를 이루는 기본 3요소라고 이야기 한다. 이때 각각 HTML은 웹의 구조와 내용, CSS는 브라우저에 보이는 모양과 스타일, JS는 사용자의 액션에 따라 웹 페이지의 요소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이벤트와 반응을 담당한다. (파일의 확장자는 각각 *.html, *.css, *.js이다.) HTML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다. python보다도 word 프로그램과 더 닮았다. HTML과 word는 모두 텍스트의 서식을 지정할 수 있다. 제목인지, 부제인지, 본문인지 등 텍스트마다 역할이 존재하고 이 텍스트들을 짜임새 있게 구성해야 한다. HTML도 웹의 구성요소들을 짜임새 있게 구성해야 한다. 그렇다면 HTML의 구성요소는 어떻게 될까? HTML..